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스테르담 하루 명언] 인생은 짧고, 지금은 더 짧다.

지친 당신을 위한 좋은 글 모음

by 스테르담 2024. 4. 29. 09:56

본문

반응형

인생은 짧고.

지금은 더 짧다.

 

by 스테르담


 

우리는 입에 '나중에'란 말을 달고 삽니다.

이게 언제부터 달렸는지는 모르겠습니다. 누가 달아주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아주 자동적으로 나오는 이 말에 우리는 삶의 많은 것을 잃고 있습니다. 누구나 압니다. 무서운 건 아는 데에도 고치지 못한다는 겁니다. 

 

그러나 기억해야 합니다.

인생은 짧고, 지금은 더 짧다는 것을.

 

반대로, 짧은 이 순간을 길게 만들 수는 있습니다.

'나중에'에란 말을 '지금'으로 바꾸면 됩니다.

 

우리가 무언가를 나중으로 미루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귀찮고, 지루해서입니다. 귀찮고 지루한 일이라... 떠올려보세요. 그때의 기분은 어땠나요? 1초가 하루 같고, 1분이 한 달 같지 않았나요? 

 

지금을 알차게 보내면 인생은 길어집니다.

삶의 역설을 비틀어 일상의 지혜로 변환하는 겁니다. 이를 잘 활용하면 내가 원하는 것보다 더 많은 걸 해내고 얻을 수 있는 기회가 됩니다.

 

'지금'은 순간입니다.

순간은 짧습니다. 그러나 순간을 늘리는 방법은 분명 있습니다. 순간을 알아채고, 귀찮음을 받아들이는 것. 받아들인 귀찮은 일을 해내는 것. 

 

나중이 아닌.

바로 지금.

 


 
생산자의 법칙
‘일을 더 잘하고 싶은가?’, ‘능력을 인정받고 싶은가?’, ‘연봉이 더 높아지길 바라는가?’, ‘직장 생활 이후, 제2의 삶을 미리 준비하고 싶은가?’, ‘궁극적으로 이전보다 더 많은 것들을 이루어내고 성공하며 스스로를 사랑하고 싶은가?’ 많은 사람들이 이 질문에 ‘그렇다’라고 대답할 것이다. 《생산자의 법칙》의 저자 역시 목표한 것들을 이뤄내고, 이전보다 더 나은 사람이 되길 원했다. 20년 가까이 직장인으로서 그 누구보다 성실했던 저자는 어느 순간 나아지기는커녕 게으른 삶에서 허우적거리는 자신을 마주하게 되었다. 이루고자 하는 목표는 높았지만, 그것을 이루기 위한 실천력은 제로. 이런 패턴이 반복되면서 무기력해지고 자기 비하가 심해졌다. 저자는 이 악순환의 고리를 끊고 싶었다. 무엇보다 타인이 정해놓은 삶이 아닌 내가 원하는 것을 그려나가며 살고 싶었다. 오랜 시간 스스로에게 끊임없이 질문하고 답을 구했다. 스스로를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내면을 들여다보는 시간을 가지면서 저자는 소모자ㆍ소비자의 삶에서 벗어나 생산자로서의 삶의 방향으로 방향을 틀게 됐다. 저자는 ‘생산자가 되기 위한 5단계 법칙’을 정리했다. 1단계, 자아성찰의 시간이다. 소모자 vs. 소비자 vs. 생산자 중 당신이 어떤 삶의 자세를 가지고 있는지를 파악한다. 2단계, 생산자가 되기로 결심했다면 그동안 늘 해온 쉬운 선택과 목표만 그럴싸한 어려운 선택을 멈춰야 한다. 불편한 선택을 통해 변화 에너지를 생성한다. 3단계, 생산자의 필수요소인 목적과 방향을 설정해야 한다. ‘OGSM 전략’ 툴을 활용하여 목표를 이루기 위한 목적을 분명하게 한다. 4단계, 그동안 자신을 방해했던 다섯 가지 키워드(시간, 열정, 욕구, 감정, 자아)에 대한 관점을 변화시켜 나를 돕는 조력자로 탈바꿈시킨다. 5단계, 실천해야 한다. 구체적인 계획을 세워 실행력을 높힌다. 저자가 실제 목표를 이루는 데 효과적이었던 문장 · 시뮬레이션 메모법, 페르소나 시간 관리법 등을 구체적으로 공개한다. 저자는 ‘생산자의 법칙 5단계’를 실천하면서 직장인으로서의 본업을 이어 나감과 동시에 아홉 권의 책을 출간한 작가로, 강연가로, 멘토로 활발하게 활동하며, 사이드 프로젝트를 통해 경제적 파이프라인도 구축했다. 소모자와 소비자로 살았던 저자가 생산자로 바뀌게 된 비법을 한 권의 책에 담았다.
저자
스테르담
출판
언더라인
출판일
2023.06.20

[종합 정보]

스테르담 저서, 강의, 프로젝트

 

[신간 안내] '무질서한 삶의 추세를 바꾸는, 생산자의 법칙'

[신간 안내] '퇴근하며 한 줄씩 씁니다'

 

[소통채널]

스테르담 인스타그램 

728x90
반응형
LIST

관련글 더보기